본문 바로가기
육아상식/아이와 생활

아이 성격 유형(거짓말, 반항, 훔치기) 및 훈육법

by 제이쏘니 2021. 2. 22.

아이는 생후 한 달이 지나면 울음소리가 아닌 다른 소리를 내기 시작합니다. 이때부터 울음소리가 길어지고 옹알이를 시작하게 됩니다. 생후 6~10개월 사이에 가장 많이 하고 길어지며 아이가 목이 쉬도록 더 크게 소리 지르기도 합니다. 물론 아이가 소리를 많이 지른다고 해서 성대가 상하지는 않으니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부모는 아이가 말을 배우는 첫 단계인 옹알이를 잘 받아주고 대응해주어야 합니다. 아이에게 자극을 주면서 쉬운 발음부터 정확한 단어까지 단계별로 가르치고 아이가 발음이 부정확하더라도 야단치지 않고 칭찬과 웃음으로 자신감을 키워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성격5: 깨물기, 반항하기, 거짓말하기

아이들이 1~2세때 깨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이가 나서 근질근질함에 무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는 것은 말을 아직 못 하는 아이가 자신을 표하는 방법이며 부모의 관심을 얻고자 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이때 부모가 단호하게 아이가 그만 물게 하면 됩니다. 아이가 습관적으로 계속 물 경우 방치해서는 안됩니다. 아이들은 처음에 깨무는 것이 나쁜 행동이란 것을 모릅니다. 무는 것을 부모들이 단호하게 안된다고 하면 깨물면 안 된다는 것을 인지할 것입니다. 큰 아이가 깨문다면 반이상이 부모 책임입니다. 또 아이가 B형 간염 보균자일 경우 다른 아이들한테 간염을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절대로 깨물게 해서는 안 됩니다. 다음은 반항하는 아이입니다. 아이가 2~3살이 되면 자아가 형성되고 부모의 말을 따르지 않으려고 합니다. 의사표현이 능숙해지는 6살이 되면 부모의 말에 말대답을 하기도 합니다. 아이가 반항한다고 해서 화를 내거나 야단쳐서는 안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에서 반항은 어느 정도 허용해주어야 합니다. 반항기에 접어든 아이에게는 평소에 부모가 아이를 사랑해주고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주어야 합니다. 또 아이의 연령에 따라 규칙과 규율을 만들어 지키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했을 때 부모가 모른척하고 넘어가면 아이가 다음에는 더 큰 거짓말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이에게 정확하고 세심하게 표현해주면 아이가 거짓말할 기회가 사라지게 됩니다. 좋은 부모가 되려면 아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아이의 성격 6: 물건 훔치기, 부모를 때리는 아이, 정리 안 하는 아이

아이들의 경우 소유 개념이 불분명하여 남의 물건에 손을 잘 댑니다. 3~4살쯤 남의 물건을 집어오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아이가 물건을 훔치면 부모의 입장에서는 속상하고 놀라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의 물건을 가져오는 것은 잘못된 행동임을 인식시켜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 앞에서 유치원선생님께 연락하여 가져온 물건을 제자리에 가져다 놓겠다고 연락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평소에 아이의 물건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아이들은 조그만한 물건을 가져왔을 때 문제없다생각하면 다음에는 더 큰 물건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잘 어질러놓는 아이는 어릴때부터 정리하는 습관을 들여주어야 합니다. 부모의 역할이 중요한데 부모가 먼저 정리하는 모습을 보여주게되면 아이도 따라서 정리하게 됩니다. 만약 아이가 정리할 나이가 됐음에도 치우지 않는다면 약간의 야단은 쳐도 됩니다. 아이에게 잘못에 대한 책임감을 심어주기 위해서입니다. 단, 매를 들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부모가 대신 치워주다보면 아이는 영원히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지 못할 것입니다. 아이들은 때리는 사람만 계속해서 때립니다. 엄마는 때려도 아빠는 못때리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쉽게 말해 만만해 보이는 사람만 계속 때리다는 것입니다. 만약 아이가 부모를 때린다면 단호한 표정으로 경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에 기선제압을 못하면 아이들은 또 때리게 됩니다. 그리고 아이앞에서 부모가 싸우는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되며 TV에 폭력적인 장면도 보게 해서는 안됩니다. 

 

아이를 야단칠 때는?

아이에게 야단을 칠 때는 간결하게 아이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야단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아이가 이상한 분위기를 감지하고 잘못된 행동을 중지했을 때는 칭찬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부모의 긍정적인 행동을 통해 모범을 보이는 것이 가장 기본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