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상식/아이와 건강

아이 황달 떨림 놀람 치료 방법

by 제이쏘니 2021. 2. 15.

아이가 생후 1주 이내에 생긴 황달은 모유를 더 먹여야 하고 생후 1주 이후에 심할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중단하기도 합니다. 황달이 있다고해서 모유수유를 중단해서는 안됩니다. 황달이 있다고 의심되는 경우에는 소아과 의사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아이 황달 원인

부모들은 아이의 황달을 구분하가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황달끼가 보인다면 바로 소아과로 데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의 경우 황달이 생기는 이유는 체내 빌리루빈이라는 색소가 많아서 피부가 노랗게 변하기 때문입니다. 빌리루빈은 혈의 성분인 적혈구가 깨졌을 때 나오며 본래는 간에서 걸러져 대변으로 나가지만 다른이유로 아이의 몸에 많이 남아있을 경우에 황달이 생깁니다. 의사들이 황달에 크게 신경쓰는 이유는 황달이 심할경우 빌리루빈이 뇌까지 노랗게 물들이면서 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황달은 그냥 두면 저절로 나아지는 것이 아니니 주의해야 합니다. 큰 아이들이 황달끼가 보인다면 간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좀 큰 아이들이 갑자기 식욕이 없고 대변이 희고 소변이 진하다면 간염을 의심해봐야하는데 병원에 가서 진료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귤이나 토마토를 많이 먹는 아이들은 황달이 없어도 몸이 노랗게 변하기도 합니다. 이때 황달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방법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유무입니다. 귤이나 토마토를 많이먹는 아이들은 몸은 노랗게 변하더라도 눈 흰자는 정상으로 보입니다. 

 

모유성 황달일 경우에는

아이가 태어나고 5일 이전의 모유성 황달이 생길경우 크게 걱정하지 않아셔도 됩니다. 이는 모유의 양을 적게먹여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모유를 더 많이 먹여주면 괜찮아집니다. 아이가 잘 때는 수유한지 4시간이 지났다하더라도 깨워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모유의 양을 대폭 늘리게되면 빌리루빈이 대변을 통해서 많이 배출됩니다. 그래도 불안하다면 황달수치를 측정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임신 35주 이후 태어난 아이의 경우 생후 48시간때 황달수치가 8.5미만이면 저위험군 12이상이면 중등도 13이상이면 고위험군에 속하게 됩니다. 또 생후 72시간에 18이상이면 고위험군이며 태어난 기간과 상관없이 수치가 20이상되면 심한 황달로 판정됩니다. 

 

황달 치료방법

병적인 황달은 잘못하면 지능장애나 뇌성마비를 일으킬수도 있습니다. 자칫 빌리루빈이 뇌로 들어가면 핵황달이라는 무서운 병을 일으키는데 청각장애까지 불러일으킬수 있습니다. 그리고 2주이상 흰 변을 보게되면 담도 폐쇄를 의심해야하며 빠르게 병원으로가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황달이 있는 아이는 황달 수치를 낮추기 위해 특수 형광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보통 형광등과는 다르게 파장을 발사하는 형광등으로 혹여나 집 천장에 달린 형광등으로 치료하려는 부모가 있다면 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페노바비탈이라는 약도 있긴하지만 효과를 발휘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추천드리진 않습니다.

 

아이가 깜짝깜짝 놀랄경우 대응 방법

아이가 깜짝깜짝 놀라게 되면 기응환부터 찾는 부모들이 많은데 아이들은 원래 잘놀랩니다. 소리나 여러 자극에 대한 반응을 잘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과잉반응 하는 것입니다. 간혹 손발이나 턱을 떨기도하는데 대부분은 정상으로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드물게 아이의 신경 계통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아이가 자주 떤다면 진료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 기응환의 경우 국제적으로 인정받을만한 자료가 부족한데 먹일 때는 신중하게 의사와의 상담후에 결정해줍니다. 생각보다 많은 아이들이 녹색변을 봅니다. 그러면 부모들은 아이가 놀라서 녹변을 본다생각하는데 정상적인 생리현상입니다. 아이가 열성 경기를 일으키면 부모들은 약을 먹이려하는데 자칫 잘못하다가 기도로 넘어가 흡입성 폐렴에 걸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아무것도 먹여서는 안됩니다. 또 아이가 아무 이상없는데 건강상 좋다며 기응환이나 청심환을 매일 먹이는 부모들이 있는데 대부분의 의사들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