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월 차가 되면 아기들은 이제 또래와 놀 수 있으며 식사할 땐 가족과 식 하며 아기 스스로도 숟가락으로 먹을 수 있어야 합니다. 밥과 반찬, 고기, 채소를 잘 먹으면 생우유를 먹일 수 있습니다. 만약 우유병을 빤다면 우유를 컵으로 먹이는 연습을 시켜야 합니다.
육아 15개월차 발달상황
아기는 이제 허리를 구부렸다 폈다 할 수 있고 혼자 걷거나 계단을 기어 올라갈 수 있습니다. 크레용으로 그림을 그리는 시늉을 하고 작은 조각들을 병에 넣을 수 있습니다. 또 4~5개의 단어를 사용하며 신체 부위를 말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물건을 손으로 가리키거나 소리도 낼 수 있으며 서서 걸어 다니는 만큼 관심의 영역도 확대됩니다.
육아 15개월차 상식
아기를 키울 때 성취만큼 중요한 것이 좌절입니다. 본인의 마음대로 되지 않았을 때 상처입지 않고 빨리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에게는 다양한 표현을 들려주고 아기가 느낄 수 있는 감정과 행동을 말로 표현해줍니다. 이때 분리불안이 심해질 수 있는데 부모가 회피한다면 아기는 더 불안하게 느끼니 항상 옆에 있어줍니다. 분노와 발작이 생기기 시작하는 나이인데 가장 좋은 방법은 무시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아기의 안전은 신경 써야 합니다. 아기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것과 못하는 것의 구분을 확실히 해주며 한계를 명확히 인지 시켜주어야 합니다. 이제 부모가 해주는 것보단 아기에게 선택권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단 아기가 선택한 것에 대해 부모가 결과를 바꾸어서는 안 됩니다.
육아 18개월차 아기는?
아기는 이제 잠을 오래 자야 두뇌발달에도 좋습니다. 말 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시기로 또래 친구들과 매일 노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유병은 이제 끊어야 되며 우유는 하루 2컵까지 먹일 수 있습니다. 대소변 가리는 교육을 시작해야 됩니다. 아기는 이제 층계를 걸어 올라갈 수 있고 불안하지만 내려올 수도 있습니다. 조금씩 뛸 수 있고 서랍을 열 수도 있습니다. 자기 이름을 말하고 그림을 보고 흉내를 내기도 합니다. 밥을 흘리긴 하지만 혼자서 먹을 수 있고 소변을 볼 경우 엄마에게 알립니다.
육아 18개월차 아기 먹이기
모유수유는 두 돌까지 먹이는 것이 기본이지만 아기에게 절제를 가르치지 않고 모유수유를 하면 버릇이 나빠지게 됩니다. 이 시기에 아기들은 생각보다 고기를 잘 먹지 않는데 철분이 많은 고기는 아기 두뇌발달에 필수요소입니다. 너무 기름진 것은 피해야 하며 식사는 한 곳에서 해야 합니다. 자리를 뜨면 식사가 끝났다는 것을 인지시켜주어야 합니다.
육아 18개월차 접종
아기가 18개월쯤되면 DPT(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예방접종) 추가 접종을 해야 합니다. 소아마비는 6~18개월 사이에 3차례 맞습니다. 이 시기 접종이 끝나면 만 4~6세에 DPT와 소아마비 접종을 같이해야 합니다.
육아 24개월 차 아기는?
아기는 이제 걷도 뛰고를 할 수 있으며 두 단어를 연결하고 문장을 말하기도 합니다. 지적인 호기심이 시작되는 시기로 부모에게 많은 질문을 하게 됩니다. 간단한 심부름도 할 수 있으며 숟가락질을 잘하는 시기입니다. 또 옷을 갈아입는데 협조적이며 한쪽 발로 설 수 있고 공을 찰 수 있습니다.
육아 24개월차 상식
이제는 대소변 가리는 것에 적극적이어야 합니다. 이제는 TV를 봐도 좋지만 2시간 이상은 노출시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들의 행동을 교정하는 데는 야단치는 것보단 칭찬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단, 아기가 노력한 것에 대해 칭찬을 해야지 결과를 가지고 칭찬해서는 안됩니다. 이 시기 아기들은 자기 고집대로 하려 합니다. 절제를 가르치되 아이에게는 자신감을 심어주고 나중에는 일을 스스로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아기는 매를 맞는 의미를 모르기 때문에 체벌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폭력은 대를 물려서 내려갑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타임아웃제로 2~3분간 부모가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서 방구석에 아이를 가만히 있게 하는 방법입니다.
육아 24개월차 소아과 의사 검진이 필요한 경우
아기 두 단어 연결을 하지못하거나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 하지 못하고 매일 보는 물건의 이름을 모를 경우 또 잘 걷지 못하는 경우에는 소아과 의사를 찾아가 상담을 해야 합니다.
'육아상식 > 임신과출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출산 신생아 육아 관리5 (0) | 2021.02.01 |
---|---|
임신 출산 신생아 육아 관리 4 (0) | 2021.01.30 |
임신 출산 신생아 육아 관리3 (0) | 2021.01.29 |
임신 출산 신생아 육아 관리 2 (0) | 2021.01.28 |
임신 출산 신생아 육아 관리 1 (2) | 2021.01.28 |
댓글